ln ( soft , hard)
soft link
window의 바로가기 아이콘 같은 존재
소프트링크로 test.txt 파일의 링크를 lntest.txt로 걸어 줬다.
CentOS 에서는원본파일을 삭제하면 빨간색 바탕으로 표시된다.
다시 원본파일 text.txt 만들면 재연결(링크)(된다.
-s : soft link 생성 디렉토리의 경우 soft link만 가능
-r :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지우고 link파일 생성
hard link
inode 값이 같다는걸 알수 있다.
건드릴 일 없음.
UNIX에서는 모든 게 파일.. Device
more(less)
화면 출력 화면 단위로 제어
출력되는 내용이 많을때 화면 넘길때
more
Enter가 한줄
Space Bar는 한 화면
'q' : 나오기
'b' : 위로 올라가기
less
방향키를 쓸수 있다.
|
앞쪽 명령의 결과를 뒤쪽 명령의 입력 값으로 이용
ls -al | more
grep
많이 쓴다. 필터링
출력 문자열중에 원하는 단어나 글자가 들어있는 라인만 출력하고자 할때 이용
d로 끝난건 데몬
command | grep [필터링 문자열]
find
파일 시스템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파일을 검색
#find 검색경로 검색조건1 검색조건2 ...
-name : 파일명으로 검색 (와일드카드문자 사용)
-perm : 특정 퍼미션을 가진 파일을 검색
-empty : 크기가 0인 파일 검색
-user : 지정한 사용자가 소유한 파일
-group : 지정한 구룹이 소유한 파일
-nouser : 소유자가 없는 파일
-nogroup : 그룹 소유자가 없는 파일
-type : 검색하고자 하는 파일의 종류 지정
b(block), c(char), d(dir), l(slink), f(regular)
-mount :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만 검색
ex) find /etc/ -name sda ....
tar
윈도우 압축 개념이랑 다름..
리눅스 -> 파일을 모이는거 푸는거
tar는 유틸리티, - 옵션 ?
용량을 줄이는 기능 X
여러개의 파일을 한번에 모아주는
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gzip
gnu에서 만든
압축파일명 일반적으로 .gz 씀.
#tar [option] [압축파일명] [대상]
-c : 압축, -x : 풀기, -v : 작업내용을 출력
-z : gzip를 이용 압축(압축해제), -j : bzip2 이용
-f : 파일명을 지정, -p : 퍼미션 유지
tar -cvz tartest
echo 입력할 문자 > 파일명
tar 이용한 증분 백업
# tar [option] [디렉토리/압축파일명] -g [백업정보 파일] [대상]
1. aa, backup 디렉토리를 생성 한뒤
2. aa 디렉토리에 1이라는 숫자를 1.txt 2.txt에 생성
3. ./aa/ 디렉토리에 1.txt, 2.txt 에 1이라고 입력 된걸 확인
4. tar cvfz ./backup/aa.tar.gz -g ./backup/aa ./aa/
tar [옵션] [디렉토리/압축파일명] -g [디렉토리/ 백업정보를 담은 파일] [압축할 대상]
5. ./aa/1.txt 에 1113 이라고 추가해준다.
6. 내용이 추가된 ./aa/1.txt만 재압축 된다.
7. back정보파일인 aa는 해당 정보를 담고 있다.
clock
리눅스 시스템에 탑재된 BIOS의 시간을 출력하거나 변경.
clock [option]
-r : BIOS의 시간을 읽어 표준 출력으로 출력한다.
-w : 시스템의 시간을 이용 시간을 변경한다. BIOS
-s : BIOS의 시간으로 시스템의 시간을 변경한다.
data
지정한 포맷으로 시스템의 날짜를 출력한다.
data [+포맷]
포맷(시간)
- 시 : %H(00..23), %I(01..12), %k(0..23), %l(1..12), %p(AM,PM)
- 분 : %M(00..59)
- 초 : %S(00..59)
- 시간 : %r(hh12:mm:ss AM), %T(hh24:mm:ss), %X (로케일)
- 기타 : %s (1970년 1월 1일 이후 경과된 초)
rdate
인터넷상에 제공되는 서버로부터 시간을 받아 시간을 출력, 시스템의 시간 재설정.
vi
vi 실행 시 반드시 파일명을 추가해서 실행
#vi [파일명]
명령 모드에서 삽입모드로 변경
l i : 커서 위치부터 입력
l a : 커서 다음 칸에 입력
l : 커서 아래 새로운 라인을 삽입하고 입력
l I : 커서가 위치한 라인 맨 앞에 입력
l A : 커서가 위치한 라인 맨 뒤에 입력
명령모드에서 실행모드로 변경
l :
삽입, 실행모드에서 명령모드로 변경
l [ESC]
삽입모드 ( : )에서 실행 모드 직접 변경 불가능
이동
h j k l (왼쪽, 아래 위 오른쪽)
gg, G ( 문서 맨 처음, 아래)
nG(n라인 이동)
ctrl + f, ctrl +b (화면단위 이동)
삭제
x(글자삭제)
delete
dd(라인삭제)
dw(단어삭제)
D(커서 뒷부분 삭제)
검색
/ 문자열
종료
:wq (저장 후 종료 )
:q! (저장하지 않고 종료 )
:w [파일명] (저장 또는 지정한 파일명으로 내용저장)
- 새 이름으로 저장하는 방법은 Windows와 다름으로
주의한다.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가능한 사용하지
않는 것이 좋다.
리눅스 파일 구조.
drwxr-x--- 2 root root 4096 Dec 18 12:31 aa
-rw------- 1 root root 2019 Dec 4 01:38 ab.txt
d : 파일종류, rwx : 퍼미션, 2 : 하드링크수, root root : 소유자, 그룹소유자 4096 :크기
Dec 18 12:31 : 마지막 변경일자, aa : 파일명
파일종류가 d 이면 x는디렉토리안으로 들어 갈 수 있느냐는 것
파일의 종류
- : 일반파일
d : 디렉토리
l : 링크파일
b : 블록 디바이스 파일 (USB)
c : 문자 디바이스 파일 (프린터 마우스)
접근 권한
구분 |
파일 |
디렉토리 |
r |
읽기 |
파일 목록 보기 |
w |
쓰기(지우기) |
파일 생성(삭제) |
x |
실행 |
들어가기 |
퍼미션
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허가정도.
소유자 User 그룹소유자 Group 이외 모든 사용자(Other)
rwx rwx rwx
User(u) Group(g) Other(o)
표기 (8진수) : 퍼미션은 각 문자의 합으로 표현
퍼미션 수정 명령
chmod
ch로 나가는 명령도 -R 대문자
옵션
-R : 디렉토리인 경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까지 수정.
대상 : u(user), g(group), o(other), a(all)
operator : +(추가), -(삭제), =(변경하지 않음)
퍼미션 : r,w,x,s,t
s : suid나 sgid를 나타낸다. 이러한 설정 파일을 실행하면
소유자의 ID로 실행된다.
t : 퍼미션과 관계없이 소유자만 삭제 가능하게 할 때
ex) # chmod o+x,g-x a.txt
# chmod g+wx, o-w, o+x a.txt
chown , chgrp
소유자 또는 그룹소유자 변경
# chown [-R] [유저명] [대상]
# chown [-R] [유저명].[그룹명] [대상] - 비표준명령
# chgrp [-R] [그룹명] [대상]
반드시 root로 실행.
공인 PORT
0 ~ 1023
sda 하드디스크 자체
sda 1, 2, 3 파티션
윈도우 포멧 -> 유닉스 파일시스템 생성
Cash
LRU 알고리즘
TTL 알고리즘
SSI
NameServer
WebServer
FTPServer
쉘프로그램
![]() |
rm -rf *
디렉토리내에 다 지움
rm -rf *.txt / rm -rf *t
확장자 다 지우기
'Linux > Linux 명령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명령어 (0) | 2014.03.04 |
---|---|
리눅스 기본 명령어1 (0) | 2013.12.04 |
CentOS 5.7 Final 설치 (0) | 2013.12.04 |